밤이라구요

블로그관리

글쓰기

Yesterday

Today

Total

블로그 이미지

밤이라구요

이것저것

블로그 이미지
밤이라구요
2022. 11. 3. 03:18
728x90

Functional Dependencies를 이용하여 DB를 정규화하는 방법을 배운다. 정규화의 목적은 NULL과 중복되는 값을 줄이는 데에 있다.

 

1. 좋은 DB를 설계하는 가이드라인

GUIDELINE 1
Relation에서 Tuple은 하나의 entity이거나 relationship instance여야 한다.
다른 entity의 attribute가 섞이면 안된다.
GUIDELINE 2
중복되는 정보가 있으면 저장공간의 낭비와 함께 INSERT, DELETE, UPDATE anomalies가 발생한다.
INSERT - 부서를 추가하려면 사원이 필요한 데, 사원이 없는 경우
DELETE - 부서를 지웠더니 부서 안의 모든 사원 정보가 지워지는 경우
UPDATE - 하나만 업데이트했는데, 모든 정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따라서, anomaly가 발생하지 않도록 디자인한다.
GUIDELINE 3
최대한 NULL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디자인한다.
NULL이 발생하면, 따로 table을 만들어서 관리한다.
GUIDELINE 4
무손실 join이 일어나도록 디자인한다.
정규화 과정을 통해 분리하다 보면, 실재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가 발생하기도 한다.(가짜 tuple)
가능하면 FD를 보장한다.

 

2. Functional Dependencies

일종의 제약같은 느낌이다. 가령 학번이 정해지면 이름과 사는 곳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학번과 이름, 학번과 사는 곳 사이에 FD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FD는 Interview 단계에서 파악한다. 가능한 모든 FD를 가정하고 안되는 경우를 지우며 파악한다.

Table은 DB 설계자에게는 사실상 위와 같은 모양처럼 보인다.

"X -> Y"로 표기하며 X가 Y를 결정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A->Y, B->Y는 FD가 가능하지만,

Y->A, Y->B는 FD가 아니다. (단, A,B는 같은 attribute)

 

FD constrain 1 FD constrain 2
FD는 최소 단위로 이루어진다. Key는 모든 attribute에 FD이다.

 

3. Normalization

정규화 과정은 안좋은 relation의 attribute를 쪼개는 과정이다. Key와 FD를 이용해 분리한 결과를 Normal Form이라 한다. 정규화 정도에 따라서 2NF, 3NF, BCNF / 4NF / 5NF로 나뉘게 된다.

2NF, 3NF, BCNF 4NF 5NF
Key와 FD를 보고 진행한다 Multi-valued dependencies, MVD를 보고 진행한다. Key와 Join dependencies를 보고 진행한다.

실제로 사용하는 정도는 3NF, BCNF이며 그 이상부터는 Denormalization을 진행한다. 이상의 것들의 결과는 너무 쪼개져 있어서 사용할 때마다 JOIN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Superkey : 가능한 1개의 key

Candidate key : key가 여러개인 경우

Primary key : 선택된 key

Secondary key : 선택되지 못한 key

 

Prime attribute : Candidate key에 해당하는 attribute를 의미한다.

Nonprime attribute : Candidate key에 해당하지 않는 attribute를 의미한다.

 

3-1. 1NF

Atomic attribute만 사용하는 것이 목표이다.

Composite / Multivalued attribute를 허락하지 않는다.

Nested relation(attribute에 table이 들어가는 경우)을 허락하지 않는다.

 

3-2. 2NF

FD와 PK를 이용한다. FD 제약 1(최소단위 관계)을 지키는 것이 목표이다.

예시)

       {SSN, PNUMBER} -> ENAME

--> {SSN} -> ENAME

 

정리하면, Nonprime attribute가 Prime attribute에 종속되게 만든다.

Full FD최소단위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3-3. 3NF

Transitive FD를 지우는 것이 목표이다.

예시)

       "X -> Y -> Z"인데 "X -> Z"를 사용하는 경우, 

--> "X -> Y" + "Y -> Z"로 분리하는 경우이다.

 

2NF를 만족하며, Nonprime attribute가 Transitive FD on PK가 아니라면 3NF를 만족한다.

 

정규화에 의해 분활되는 과정은 위와 같다. (a) 1NF 만족, Full FD 불만족 (b) 2NF 만족, transitive FD 존재 (c) 3NF 만족

 

정리하자면 다음의 내용을 확인하면 된다.

1NF 2NF 3NF
모든 key가 atomic한지 확인한다. Full FD를 유지하는 지 확인한다. Transitive FD를 확인한다.

 

3-4. BCNF

3NF으로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바로 "Nonprime attribute -> Prime attribute"인 경우이다. 이경우 BCNF를 사용하면 된다.

 

Boyce-Codd Normal Form, BCNF으로

X -> A에 대하여 X가 superkey인 경우에만 인정하는 것이다.

 

Nonprime attribute가 Prime(Candidata) attribute에 FD를 가지고 있다. 3NF 위반은 아니지만, BCNF에서는 위반이다.

 

*3NF와 BCNF 차이

fd1: {student, course} -> instructor

fd2: instructor -> course

 

--> 3NF가 필요함 (transitive FD가 있으니까)

나눠질 수 있는 가능한 결과는 아래와 같음

 

D1: {student, instructor} and {student, course}

D2: {course, instructor} and {course, student}

D3: {instructor, course} and {instructor, student}

 

어떤 D를 사용할지 고려하는 방법은

  1. 두 개의 relation으로 분리
  2. "Relation 교집합 -> Relation 차집합" 이 가능하면 선택

풀이 과정은

  1. D1: student -> instructor, student -> course
  2. ...

전부 가능한 지 확인하고 가능한 FD가 있는 것을 사용한다.

 

3NF로는 해결할 수 없음, fd1을 만족할 수 없게 됨

BCNF에서는 해결 가능(FD를 꼭 맞춰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

-> D3로 나누면 된다.

 

3-5. 4NF

X ->> Y를 의미한다. 1:n의 관계이다. 

Y가 X의 부분집합이거나 X U Y가 relation schema라면 trivial MVD라고 한다.

X가 superkey라면 4NF를 만족하게 된다.

4NF와 5NF에 대한 예시이다.

 

3-6. 5NF

가능한 최대한 작게 나누어서 테이블을 저장하는 방식이다.